
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회사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73조에 따라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 제출하여야 하고, 이 때 산업재해조사표에는 근로자대표의 확인·서명을 받도록 되어 있는데, 회사의 사정에 따라 근로자대표의 확인·서명을 받지 않는 경우, 산재발생 보고 의무 위반일까? 1. 산업재해조사표는 근로자대표의 확인·서명 필요 -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상 산업재해조사표의 양식을 보면, 산업재해조사표에는 근로자대표의 서명을 받도록 되어 있어,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·제출할 시, 근로자대표의 확인 및 서명이 필요한 것이 원칙이다. -필자는 공인노무사이지만, 산업재해조사표 양식 상 ‘근로자대표(재해자)’라고 기재되어 있다는 이유로, 근로자대표가 있는 사업장임에도 근로자대표가 아닌 재해..
인사·노무
2023. 9. 13. 13:2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개인정보보호책임자
- 파업 손해배상
- 장애인취업
- 2025년노동법
- 출산정책
- 고령자계속고용장려금신청방법
- 고용노동부지원금
- 고령자계속고용장려금
- 정부출산정책
- 복지지원금
- 노동법개정
- 출산지원금
- 개인정보보호법개정
- 산업재해조사표근로자대표
- 산업재해조사표
- 산업재해조사표작성방법
- 장애인고용의무
- 장애인고용부담금
- 장애인고용의무불이행
- 간담회
- 기업 경쟁력
- 개인정보보호책임자자격요건
- 2025년개정노동법
- 정부출산지원금
- 개정노동법
- 외국인 투자 감소
- 장애인고용간담회
- 한국장애인고용공단
- 산업재해조사표작성팁
- 노란봉투법 문제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